GHG Reduction
온실가스 감축성과가 지속가능 경영성과입니다
- GHG Reduction
EchoBizHub의 온실가스감축사업
탄소중립 목표 수립 및 이행
STEP 02
감축목표 유형 설정
(1) Scope 1, 2, 3 총 배출량에 대한 단일 목표
(2) Scope 3 총 배출량에 대한 단일 목표
(3) Scope 3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개별 목표
: 배출량 검증 가능 여부/ 배출량 추이 고려
1. 절대량 목표 (Absolute target) 방식
개념
기준연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의 절대량 감축을 목표로 하는 방식
장점
- 이행 관리가 투명하고 신뢰도가 높아 국제적으로 선호되는 방식
- 이해관계자에게 신뢰 구축 용이
단점
- 온실가스 집약도/효율성 비교 어려움
예시
- 2030년까지 Scope 3 총 배출량을 2021년 수준에서 30% 감축
- 2030년까지 판매된 제품 사용으로 인한 Scope 3 배출량을 2018년 수준에서 20% 감축 목표
2. 집약도 목표 (Intensity target) 방식
개념
생산량, 에너지소비량 등 자체 설정한 기준으로 원단위 배출량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하는 방식
장점
- 사업 성장 또는 스케일과 관련 없이 온실가스 성능 개선을 반영
- 기업 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용이
단점
- 온실가스 배출량이 절대량 감축이 아니므로 신뢰성 부족
예시
- 2030년까지 매출 단위당 Scope 3 배출량을 2021년 수준에서 25% 감축
- 2030년까지 판매된 제품의 에너지 효율을 2018년 수준에서 30% 향상
STEP 03
탄소중립 목표연도 설정
Scope 3 카테고리의 배출량 변화
= Scope 3 카테고리의 현재 연도 배출량
– Scope 3 카테고리의 기준연도 배출량
자율적 목표설정 방법 : Forecasting & Backcasting
Forecasting 방법
목표연도의 온실가스 BAU를 전망하고, 이행 가능한 감축수단을 파악한 다음 감축할 수 있는 온실가스 양을
종합하여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Backcasting 방법
일반적으로 고객사 요구와 같은 외부 상황에 의해 감축목표가 정해진 경우, 감축목표를 먼저 설정하고 목표 달성에 필요한 감축수단과 강도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해 둔다면, 각 시나리오가 미치는 영향, 감축 강도 등을 고려하여 가장 달성 가능성이 높은 감축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달성 과정에서 변화하는 내·외부 상황에 따라
다른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STEP 04
배출량 저감 방안 마련
Scope 1. 배출량 주요 감축 방안
# 운전 관리 합리화
– 공정개선 등을 통한 운전 효율 증대
# 폐열 활용
– 보일러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
# 고효율 설비 교체
– 노후화 설비 교체 및 효율 높은 설비 구입
Scope 2. 배출량 주요 감축 방안
# 전력 효율화 및 사용량 절감
– 전기 사용 시설 에너지 효율화 및 사용량 절감
# 재생에너지 활용
– 태양광 발전설비를 직접 구축하거나 재생에너지
전기를 구매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온실가스 저배출 원료 조달/구매 정책 시행
- 공급업체의 상위 공급업체에게도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를
받도록 권장
- 재생에너지 도입
- 운송 및 유통수단의 효율화
- 온실가스 고배출 운송수단을 저배출 수단으로 변경 혹은
저배출 연료원으로의 전환
- 온실가스 저배출 폐기물 처리기술 도입
- 온실가스 저배출 교통수단 권장
- 대중교통, 자전거, 차량공유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 재택근무제도 적용
- 온실가스 저배출 연료원으로 대체
스트림
- 운송 및 유통 수단의 효율화
- 온실가스 저배출 연료원으로 전환
- 필요한 처리를 줄이기 위해 제품 재설계
- 제품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사용자 지침 변경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제품의 포장 방안 마련